매출 감소 320만 소상공인에 100만원 지원금…4조 3000억원 패키지매출감소만 확인되면 현금 지급…손실보상 비대상 업종 230만곳 포함
|
![]() ▲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'소상공인 지원 관련 정부 합동 브리핑'에서 주요내용을 발표하고 있다.(사진=기획재정부) © |
방역패스 적용 확대에 따른 방역물품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차원에서 10만원 상당의 현물 지원도 병행하기로 했다.
적용 대상이 되는 식당·카페, PC방, 독서실·스터디카페 등 약 115만 곳의 소상공인이 전자출입명부 단말기, 체온측정기, 칸막이 등 방역활동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면 비용을 지원해준다. 이에 약 1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.
방역조치로 피해가 발생한 소상공인에 대한 손실보상도 확대한다.
현재까지 손실보상 대상은 집합금지 및 영업시간 제한 업종 80여만 곳이 중심이었으나 보다 두텁게 지원하는 측면에서 관련 근거 규정을 개정, 이·미용업, 키즈카페 등 인원·시설이용 제한업종 12만 곳을 신규로 포함한다.
손실보상 분기별 하한 지급액도 이제까지 10만원에서 50만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한다.
이에 따라 내년 예산에 계상된 손실보상 소요액 2조 2000억원에 1조원이 추가돼 총 규모가 3조 2000억원으로 늘어난다.
손실보상 대상 소상공인은 손실보상금과 방역지원금을 중복 지원받는다.
정부는 내년 예산·기금에 반영된 자영업 소상공인 지원사업도 최대한 신속 집행할 방침이다.
문화·체육·수련시설 등을 대상으로 한 4조 6000억원 규모의 맞춤형 금융지원 및 시설이용바우처 등도 차질없이 지원한다. 내년 지역골목상권의 회복을 위해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 및 온누리상품권 규모는 총 33조 5000억원이다.
홍 부총리는 “방역강화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·소상공인 입장에서 정부의 보상·지원조치가 충분하지 않다 할 것”이라며 “지원책들이 현장에서 적기에 신속하게 집행되도록 최대한 경주하고 마지막 고비를 잘 넘길 수 있도록 다양하고 중층적인 정책 지원노력에 총력을 기울이겠다”고 말했다.
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발표문을 통해 “방역지원금을 빠르게 지급하겠다”며 “특히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영업시간 제한 대상 소상공인들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겠다”고 밝혔다.
그러면서 “현재 집행 중인 손실보상 업체 명단을 활용, 다음주 중에 방역지원금 1차 지원대상 DB를 확정하는 등 올해 안에 영업시간 제한을 받은 소상공인의 상당수가 신속하게 지원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”고 말했다.
이어 “영업시간 제한을 받지는 않지만 매출이 감소한 일반피해 업종도 1월부터 지원하겠다”며 “버팀목자금플러스·희망회복자금을 받은 업체는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인정하는 등 지급 대상자를 조속히 확정하겠다”고 설명했다.
![]() |